Movie2007. 11. 13. 21:07
이제는 고개를 돌릴 때

어제(11월 12일) 블로거뉴스 방송/연예 섹션에서 베스트 1위로 선정된 포스트의 제목이 인상 깊었다. '목포 촌놈은 <원스> 볼 권리도 없나?' 라는 제목(원래는 '촌놈은 영화 볼 권리도 없나?'였다.)의 글이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지방에는 개봉관을 찾을 수 없는 비주류(?) 영화를 보고싶어하는 K군(가상의 인물이란다.ㅋ)의 애환을 표현한 글이다.

말이 나왔으니 말인데 '원스'라는 영화만 봐도 현재 한국영화의 블럭버스터에 대한 강박관념을 벗어버려야한다고 생각한다. 1000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만이 성공한 영화인가? 300만 이상의 관객이 동원되야 손익분기점을 간신히 넘는다는데, 그렇다면 손익분기점이 낮은 저예산 영화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 왜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까? 10만이든 20만이든.... 적은 인원이 선호하는 영화는 가치가 없다고 판단하는 걸까?

위의 '촌놈은 영화 볼 권리도 없나?'를 쓰신 'PD the ripper'님께서 글 후반부에 덧붙인 말로 '영화=상품=돈'이라는 인식에 대한 지적을 하셨는데 내 생각도 마찬가지다. 영화가 상당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하나의 상품이며 이를 통해 수익을 얻는다 것에 대해 반대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단지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말이다.

영화는 상품이기도 하지만 문화이기도 하고,예술이기도 하다. 문화와 예술은 돈으로 그 전부를 평가할 수 없다. 또한 문화와 예술은 일정한 기준에 의해 자로 잰 듯이 만들어져서는 안되며 또한 그것이 가능하지도 않다. 문화와 예술은 개개인의 취향과 선호가 다르듯이 개성과 다양성이 중요시된다.

현재 한국영화의 맹점은 영화를 상품으로 인식하고 무조건 많이 팔아야한다는 강박에서 비롯된 것이다. 작고 아기자기한 아름다움의 미학을 무시해서는 안된다. 소수의 관객들을 만족시키는 것에 대해서 그 가치를 낮게 평가해서는 안된다. 다양성이 중요함을 잊어서는 안된다. 무엇보다 영화를 산업으로 인식하는 것에서 예술로서 바라봐주는 인식의 전환도 필요하다.

영화 관계자들이 이를 모를리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현실이 의식을 방해하고 있을 것이라 짐작된다. 영화인이라고는 하지만 수익창출을 목적으로하는 기업인 배급/유통사에게 영화를 상품으로 보지말라는 말을 하는 것도 적절치 않다는 것을 알고있다. 그러나 이러저러한 사정들로 '위기'라는 짐을 서로에게 떠넘기다보니 문제의 심각성이 커지기만 했다. 내가 "한국영화, 꾀병부리지 마세요"라는 제목을 붙인 이유는 영화인들 스스로가 무엇이 문제인지 알고 있지만 직시하지 않을 뿐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영화관 한켠의 좌석을 차지하고 영화인들이 애써서 만든 '한국'영화를 고맙고 즐겁게 감상하는 한명의 관객으로써 한국영화가 흔들림 없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고픈 마음에 하릴 없는 넋두리를 해본 것이니 오해는 없기 바란다.

[영화] - [한국영화, 꾀병부리지 마세요] 3. 스스로 자초한 일
Posted by 일보전진